★ 무언가 배꼽 위에 딱딱한 것을 느낄때 일단 상식적으로 변비부터 의심을 하게 된다. 그리고 실제로도 변비일 확률이 매우 높다.
★ 하지만 명확하게 덩어리의 원인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불안해질 수 밖에 없다. 그 딱딱함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.
배꼽 위 딱딱한 이유
1. 배꼽 위 결림, 단단함
★ 변비로 인해 대장에 변이 쌓여서 배가 딱딱하게 굳어진 상태.
2. 질환일 경우
★ 갑자기 배가딱딱하면 장폐색의 가능성.
★ 배꼽 위 덩어리같은 것이 만져지면 지방종, 피하낭종, 대장암 등의 가능성.
★ 덩어리가 있는 경우 만지면 움직이는 느낌이 든다면 지방종, 조금 딱딱하면 피하낭종, 대장암의 경우 덩어리가 직접 만져지는 경우가 드물고 혈변, 가는 변, 복통 등의 증상들이 많이 나타난다.
변비일 경우 대책
★ 대변이 오랫동안 장에 머무를 경우 나쁜균이 대변을 부패시키고 유해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장내 환경이 악화되어 장폐색이나 대장암같은 위험한 대장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빨리 비워내야한다.
★ 응급대책으로 가장 쉽게 할 수 있는것이 수분섭취다. 변이 장에 오래 머물러 있을수록 딱딱해지므로 수분을 섭취하면 변이 물을 머금은 후 부패 가스를 배출하면서 배설이 용이해질 수 있다. 이때 음료는 따뜻한 것으로 먹어줘야한다.
★ 두번째는 비데를 활용하는 방법이다. 따뜻한 물을 분사해 항문을 관장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.
★ 세번째는 배마사지이다. 손으로 배꼽 주위를 원을 그리듯이 천천히 쓰다듬듯 마사지를 해준다. 변이 바로 나오지 않아도 가스정도만 배출된다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.
★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역시 설사약이다. 하지만 설사약을 너무 자주 사용하면 장 자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오히려 장기적으로 장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둬야한다.
장폐색일 경우
★ 한마디로 장이 막혔다는 의미의 질환으로 음식과 소화액의 흐름이 소장이나 대장에 적체된 상태를 말한다.
★ 증상은 복통, 메스꺼움, 구토 등이 나타나며 배꼽위나 복부 어딘가 막힌 부분이 딱딱하게 팽만감이 발생한다.
★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한 복통으로 변하며 식은땀, 창백, 부정맥, 호흡곤란 등이 일어나며 쇼크 상태에 빠지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.
★ 자연치유는 없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한다. 일단 금식부터 실시하고 수액을 주입하며 경과를 지켜본다. 증상이 심해지면 코를 통해 관을 넣어 강제로 막힌 내용물이 밖으로 나오도록 펌핑 작업을 실시한다.